728x90
반응형
喜春来 - 来 (희춘래 - 봄) :
아름다운 봄이 오네.
中 | 国 (國) | 北 | 方 | 金 | 朝 | 时 ( ) | 代 | 诗 (詩) |
가운데 중 | 나라 국 | 북녘 북 | 모 방 | 쇠 금 | 아침 조 | 때 시 | 대신할 대 | 시 시 |
人 | 元 | 好 | 问 ( 問 ) | 的 | 喜 | 春 | 来 ( 來 ) | |
사람 인 | 으뜸 원 | 좋을 호 | 물을 문 | 과녁 적 | 기쁠 희 | 봄 춘 | 올 래 |
금(金)나라가 멸망 후 고향에서 생활할 때
동풍이 부드럽게 불어오고 버드나무는
아직 눈을 뜨지 않고 매화의 향기와
복숭아와 살구봉오리는 피어날 준비를 하고
봄의 소리와 봄의 풍경에 대한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하여 지은 작품이다.
梅 残 玉 靥 香 犹 在 (매잔옥엽향유재) :
매화는 꺾여도 하얀 꽃잎에는 향기가 남아 있고
柳 破 金 梢 眼 未 开 (류파금초안미개) :
버드나무의 새싹 끝은 밝은 노란색이고
잎은 아직 자라지 않았네.
东 风 和 气 満 楼 台 (동풍화기만누대) :
부드러운 동풍은 가득히 누각에 불어오고
挑 杏 折 (도행절) :
복숭아꽃과 살구꽃이 막 피어난 모습이
宜 唱 喜 春 来 (의창희춘래) :
봄이 왔음을 노래하며 축하하기 좋은 계절이네.
梅 | 残 (殘) | 玉 | 靥 (靨) | 香 | 犹 (猶) | 在 | |
매화 매 | 잔인할 잔 | 구슬 옥 | 보조개 엽 | 향기 향 | 오히려 유 | 있을 재 | |
柳 | 破 | 金 | 梢 | 眼 | 未 | 开 (開) | |
버들 류 | 깨뜨릴 파 | 쇠 금 | 우듬지 초 | 눈 안 | 아닐 미 | 열 개 | |
东 (東) | 风 (風) | 和 | 气 (氣) | 满 (滿) | 楼 (樓) | 臺 (台) | |
동녘 동 | 바람 풍 | 화할 화 | 기운 기 | 찰 만 | 다락 루 | 대 대 | |
桃 | 杏 | 折 | 宜 | 唱 | 喜 | 春 | 来 (來) |
복숭아 도 | 살구 행 | 꺾을 절 | 마당할 의 | 노래할 창 | 기쁠 창 | 봄 춘 | 올 래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