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喜春来 - 春宴 (희춘래 - 춘연) :
봄이 오니 기쁘다. (봄의 연회)
中 | 国 (國) | 北 | 方 | 金 | 朝 | 时 (時) | 代 | 诗 (詩) | 人 |
가운데 중 | 나라 국 | 북녘 북 | 모 방 | 쇠 금 | 아침 조 | 때 시 | 대신할 대 | 시 시 | 사람 인 |
元 | 好 | 问 (問) | 的 | 喜 | 春 | 来 (來) | 春 | 宴 | |
으뜸 원 | 좋을 호 | 물을 문 | 과녁 적 | 기쁠 희 | 봄 춘 | 올 래 | 봄 춘 | 잔치 연 |
금나라가 멸망 후 고향에서 생활할 때
봄의 시작을 알리기 위하여 친인척 사람들을
초대하여 봄을 맞이하는 기쁨을 표현했다.
春 盘 宜 剪 三 生 莱 (춘반의전삼생래) :
봄이 시작되면 사람들은 상추와
각종 과일과 채소를 따서 접시에 담아
春 燕 斜 簪 七 宝 钗 (춘연사잠칠보채) :
봄 제비가 달린 일곱 가지의
보물 비녀를 비스듬이 장식하니
春 风 春 酝 透 人 怀 (춘풍춘온투인회) :
봄바람이 서로 어우러져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네.
春 宴 排 (춘연배) :
봄 잔치를 가지런히 준비하고
齐 唱 喜 春 来 (제창희춘래) :
함께 노래하며 봄이 오는 것을 기뻐하네.
春 | 盘 | 宜 | 剪 | 三 | 生 | 萊 | |
봄 춘 | 소반 반 | 마땅 의 | 가위 전 | 석 삼 | 날 생 | 명아주 래 | |
春 | 燕 | 斜 | 簪 | 七 | 宝 (寶) | 钗 (釵) | |
봄 춘 | 제비 연 | 비낄 사 | 비녀 잠 | 일곱 칠 | 보배 보 | 비녀 채 | |
春 | 风 (風) | 春 | 酝 (醞) | 透 | 人 | 怀 | |
봄 춘 | 바람 풍 | 봄 춘 | 빚을 온 | 사무칠 투 | 사람 인 | 품을 회 | |
春 | 宴 | 排 | 齐 (齊) | 唱 | 喜 | 春 | 来 (來) |
봄 춘 | 잔치 연 | 밀칠 배 | 가지런할 제 | 부를 창 | 기쁠 희 | 봄 춘 | 올 래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