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大德歌之冬 (대덕가지동) :
대덕송의 겨울
中 | 国 (國) | 元 | 代 | 初 | 期 | 戏 (戲) | 剧 | 作 |
가운데 중 | 나라 국 | 으뜸 원 | 대신할 대 | 처음 초 | 기약할 기 | 놀이 희 | 심할 극 | 지을 작 |
家 | 关 (關) | 汉 (漢) | 卿 | 的 | 大 | 德 | 歌 | 冬 |
집 가 | 관계할 관 | 한수 한 | 벼슬 경 | 과녁 적 | 큰 대 | 클 덕 | 노래 가 | 겨울 동 |
대덕가(大德歌) | 대덕가는 사패(词牌)로 대덕송의 겨울을 뜻하며 대덕(大德)은 성종(成宗)의 두 번째 연호(年号)이다 |
《눈이 내려 무거운 문을 덮는다》는 뜻으로
겨울을 표현한 곡으로 후궁 메이페이의 아야기를
비유한 것으로 실종된 여자가 먼 남편을 그리워하며
초췌하게 여위어가고 과거의 매력을 잃어가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난간에 기대어 혹독한 겨울을
원망하며 님을 그리워하는 애틋함과 쓸쓸함도 담겨 있다.
雪 纷 纷 (설분분) :
눈은 어지러이 흩날리고
掩 重 门 (엄중문) :
무거운 문을 꽁꽁 닫았더니
不 由 人 不 断 魂 (불유인부단혼) :
사람들은 영혼을 잃을 수밖에 없네.
瘦 损 江 梅 韵 (수손강매운) :
수척한 모습 고운 자태 잃어버린
강매(江梅) 같아라.
那 里 是 淸 江 江 上 村 (나리시청강강산촌) :
청강(淸江) 강변 윗 마을은 어디인가
香 闺 里 冷 落 谁 瞅 问 (향규리냉낙수추문) :
쓸쓸한 규방 누가 거들떠나 볼까
好 一 个 憔 悴 的 凭 栏 人 (호일개초췌적빙난인) :
좋아하던 한 여인이 초췌한 모습으로
난간에 기대어 있구나.
雪 | 纷 (紛) | 纷 (紛) | 掩 | 重 | 门 (門) | |||
눈 설 | 어지러울분 | 어지러울분 | 가릴 엄 | 무거울 중 | 문 문 | |||
不 | 由 | 人 | 不 | 断 (斷) | 魂 | |||
아닐 불 | 말미암을유 | 사람 인 | 아닐 부 | 끊을 단 | 넋 혼 | |||
瘦 | 损 (損) | 江 | 梅 | 韵 | ||||
파리할 수 | 덜 손 | 강 강 | 매화 매 | 운 운 | ||||
那 | 里 | 是 | 淸 | 江 | 江 | 上 | 村 | |
어찌 나 | 마을 리 | 바를 시 | 맑을 청 | 강 강 | 강 강 | 윗 상 | 마을 촌 | |
香 | 闺 (閨) | 里 | 冷 | 落 | 谁 (誰) | 瞅 | 问 (問) | |
향기 향 | 안방 규 | 마을 리 | 찰 랭 | 떨어질 락 | 누구 수 | 볼 추 | 물을 문 | |
好 | 一 | 个 (個) | 憔 | 悴 | 的 | 凭 | 栏 (欄) | 人 |
좋을 호 | 한 일 | 낱 개 | 파리할 초 | 파리할 췌 | 과녁 적 | 기댈 빙 | 난간 란 | 사람 인 |
강매(江梅) | 당 현종(㫫宗)의 비(妃)로 원래 성은 강(江)이며 매화를 무척 사랑하여 현종이 매비(梅妃)라는 칭호를 내림.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