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汉诗) 썸네일형 리스트형 中国 南宋朝时代 《诗人 黃机》 眼儿媚(중국 남송나라시대 《시인 황기》 안아미) : 눈썹과 눈이 아름다운 여인. 眼儿媚 (안아미) :눈썹과 눈이 아름다운 여인 中国 (國)南宋朝时 (時)代诗 (詩)가운데 중나라 국남녘 남송나라 송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시 시人黃机 (機)的眼儿 (兒)媚 사람 인누를 황틀 기과녁 적눈 안아이 아예쁠 미 《안아미》는 사(词)라는 중국의 시의 한 종류로민간에서 유행하던 노래를 가사에 맞추어 지어진시의 제목이자 곡조의 이름이며 복잡한 세상사를 떠나 자연 속에서 소박하고 평화롭게 살아가는 즐거움과 만족함을 표현하고 있다. 莫 嗔 日 日 话 思 归 (막진일일화사귀) :날마다 집에 돌아가고 싶다고 말하는 것을 나무라지 않으면 归 也 却 便 宜 (귀야각편의) :돌아가는 것이 오히려 편안하네. 东 邻 招 茗 (동린초명) :동쪽 이웃은 차를 권하고 西 邻 喚 酒 (서린환주) :서쪽 이웃은 술을 권.. 더보기 中国 南宋朝时代 《诗人 黃机》 霜天晓角(중국 남송나라시대 《시인 황기》 상천효각) : 서리 내리는 아침의 피리소리 霜天晓角(상천효각) :서리 내리는 아침의 피리소리 中国 (國)南宋朝时 (時)代诗 (詩)가운데 중나라 국남녘 남송나라 송아침 조때 시대신할 대시 시人黃机 (機)的霜天晓 (曉)角사람 인누를 황틀 기과녁 적서리 상하늘 천새벽 효뿔 각 차가운 강가에서 밤을 보내며 밤하늘의풍경, 물속의 물고기. 거센 바람과 파도등을 보고 느낀 쓸쓸함과 강가에서 홀로 깨어있는 자신의 무력함을 느끼며시와 술로 자신의 감정을 달래고 술로 채워지지 않는 울분을 담은 시이다. 寒 江 夜 宿 (한강야숙) :차가운 강에서 밤에 묵으며 长 啸 江 之 曲 (장소강지곡) :강가에서 길게 휘파람 분다. 水 底 鱼 龙 惊 动 (수저어룡경동) :물속의 물고기와 용이 놀라 움직이고 风 卷 地 (풍권지) :바람은 땅을 말아 올리고 浪 翻 屋 (랑번옥) .. 더보기 中国 南宋时代 《诗人 高观国》 更漏子(중국 남송시대 《시인 고관국》 경루자) : 시간을 재는 물시계 更漏子 (경루자) :시간을 재는 물시계 中国 (國)南宋时 (時)代诗 (詩)人가운데 중나라 국남녘 남송나라 송때 시대신할 대시 시사람 인高观 (觀)国 (國)的更漏子 높을 고볼 관나라 국과녁 적고칠 경샐 루아들 자 봄밤의 정경과 여인의 애상적인 심정을묘사하고 있으며 옥피리의 쓸쓸한 가락과 난간에 기대어시름에 잠기어 구름과 달, 매화 그림자등을 바라보며 고독하고그리움에 잠긴 여인의 마음을 나타내고 있다. 玉 箫 闲 (옥소한) :옥피리 소리 한가롭고 淸 韵 咽 (청운인) :맑은 곡조 흐느끼네. 人 倚 画 阑 愁 绝 (인의화란수절) :난간에 기대선 사름은 사름에 잠기고 云 恼 月 (운뇌월) :구름은 달을 괴롭히고 月 羞 云 (월수운) :달은 구름을 수줍어하네. 半 溪 梅 影 昏 (반계매영혼) :반쯤 흐르는 시.. 더보기 中国 南宋时代 《文人 刘学箕》 惜分飞(중국 남송시대 《문인 류학기》 석분비) : 후회스러운 이별《이별에 대한 후회》 惜分飞 (석분비) :후회스러운 이별《이별에 대한 후회》 中国 (國)南宋时 (時)代文人가운데 중나라 국남녘 남송나라 송때 시대신할 대글월 문사람 인刘 (劉)学 (學)箕的惜分飞 (飛) 죽일 류배울 학키 기과녁 적아낄 석나눌 분날 비 남송(南宋)은 금(金)나라의 침략으로 국토가 유린되고 민생이 어려웠던 시기에 버들가지의 자유로운 움직임과 역동적인 모습을 통해 현실의 고통과 제약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염원으로 봄날 흩날리는 버들가지가 바람에 날려 이리저리 떠도는 모습을 애틋하게 표현했다. 池 上 楼 台 堤 上 路 (지상루대제상로) :연못 위 누각과 둑길 위에서 尽 日 悠 扬 飞 舞 (진일유양비무) :온종일 버들가지가 흩날리며 춤추네. 欲 下 还 重 挙 (욕하환중거) :내려앉으려다 다시 날아오르고 又 随 蝴 .. 더보기 中国 南宋时代 《文人 刘学箕》 挑源忆故人(중국 남송시대 《문인 류학기》 도원억고인) : 도원에서 옛 친구를 회상하며. 挑源忆故人 (도원억고인) : 도원에서 옛 친구를 회상하며. 中国 (國)南宋时 (時)代文人 가운데 중나라 국남녘 남송나라 송때 시대신할 대글월 문사람 인 刘 (劉)学 (學)箕的桃源忆 (憶)故人죽일 류배울 학키 기과녁 적복숭아 도근원 원생각할 억연고 고사람 인 아름다운 강남의 풍경을 묘사했으며 그 속에서느끼는 한가롭고 평화로운 저녁 노을, 맑은 구름매화, 흐르는 물, 갈매기와 백로 등 자연의 아름다움과 세속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을표현하고 있으며 자연 속 외로움을 그린 시이다. 暮 霞 散 绮 西 溪 浦 (모하산기서계포) :저녁 노을 바단처럼 서쪽 시내 물가에 흩어지고 天 上 晴 云 开 絮 (천상청운개서) :하늘에 맑은 구름 솜처럼 피어오르네. 淸 绝 梅 花 几 树 ? (청철매화기수)? :맑고 깨끗한 매화.. 더보기 中国 南宋时代 《诗人 刘克庄》 淸平乐(중국 남송시대 《시인 류극장》 청평악) : 세상이 태평하니 즐겁게 놀아보세. 淸平乐 (청평악) :세상이 태평하니 즐겁게 놀아보세. 중추절 밤하늘의 밝은 달과 시원한 바람을묘사했으며 달을 타고 하늘을 나는 듯한 상상을통해 속세의 번뇌에서 벗어나 신선과 같은 자유로운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했으며중추절에 달을 보며 소원을 빌고 풍요를 기원하는 모습과 달궁으로 여행 하는 장면 을 담고 있다. 风 高 浪 快 (풍고랑쾌) :바람은 높고 파도는 빨라 万 里 骑 蟾 背 (만리기섬배) :만 리를 두꺼비 등에 타고 가는 듯하네. 曽 识 姮 娥 真 体 态 (증식항아진체태) :일찍이 항아의 참모습을 알았으니 素 面 元 无 粉 黛 (소면원무분대) :화장기 없는 맨 얼굴이네. 身 游 银 阙 珠 宫 (신유은궐주궁) :몸은 은월에 노릴고 주궁에 내려다보니 달궁에서 俯 看 积 气 蒙 蒙 (부간적.. 더보기 中国 南宋时代 《词作家 朱敦儒》 好事近(중국 남송시대 《사작가 주돈유》 호사근) : 기쁜일이 곧 닥쳐올 듯하다. 好事近 (호사근) :기쁜 일이 곧 닥쳐올 듯하다 中国 (國)南宋时 (時)代词 (詞)作가운데 중나라 국남녘 남송나라 송때 시대신할 대말씀 사지을 작家朱敦儒的好事近집 가붉을 주도타울 돈선비 유과녁 적좋을 호일 사가까울 근 속세의 번거로움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술에 취하고 깨기를 반복하며 유유자적한삶을 즐기는 모습을 담고 있으며 은둔자의자유롭고 평화로운 삶을 노래를 표현했다. 搖 首 出 红 尘 (요수출홍진) :고개를 저으며 속세를 벗어나니 醒 醉 更 无 时 节 (성취갱무시절) :깨어있으나 취해있으나 시간 가는 줄 모르네. 活 计 绿 蓑 靑 笠 (활계녹사청립) :생계는 도롱이와 푸른 삿갓이니 惯 披 霜 冲 雪 (관피상충설) :늘 서리를 맞고 눈을 헤치네. 晩 来 风 定 钓 丝 闲 (만래풍정조사한) :저녁 바.. 더보기 中国 南宋时代 《词作家 朱敦儒》 相见欢(중국 남송시대 《사작가 주돈유》 상견환) : 서로 만나 기뻐하다. 相见欢 (상견환) :서로 만나 기뻐하다. 中国 (國)南宋时 (時)代词 (詞)作가운데 중나라 국남녘 남송나라 송때 시대신할 대말씀 사지을 작家朱敦儒的相见 (見)欢 (歡)집 가붉을 주도타울 돈선비 유과녁 적서로 상볼 견기쁠 환 북송(北宋)이 멸망하고 남송(南宋)이 건립되는 혼란스러운 시대를 맞이하며주돈유가 금릉(金陵 : 지금의 南京)의서쪽 누각에 올라 가을 풍경을 바라보며나라를 걱정하는 마음과 은둔 생활의 쓸쓸함을 담은 작품이디. 金 陵 城 上 西 楼 (금릉성상서루) :금릉성 서쪽 누각에 올라 倚 淸 秋 (의청추) :맑은 가을을 풍경에 기대었네. 万 里 夕 阳 垂 地 (만리석양수지) :만 리 밖으로 석양이 드리우고 大 江 流 (대강류 ) :큰 강물은 유유히 흐르네. 中 原 乱 ( 중원란) :중원은 혼란.. 더보기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