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汾上惊秋 (분상경추) :
분수(汾水)강가에서 가을에 놀라다
《가을을 깨닫다》
中 | 国 (國) | 唐 | 朝 | 时 (時) | 代 | 诗 (詩) | 人 |
가운데 중 | 나라 국 | 당나라 당 | 아침 조 | 때 시 | 대신할 대 | 시 시 | 사람 인 |
苏 (蘇) | 颋 (頲) | 的 | 汾 | 上 | 惊 (驚) | 秋 | |
차조기 소 | 곧을 정 | 과녁 적 | 클 분 | 윗 상 | 놀랄 경 | 가을 추 |
멀리 고향을 떠나 분수 강가에서 북풍이 불어
흰 구름을 흘려보내고 먼 길을 헤쳐 분수 강에 당도한
마음은 나뭇잎이 떨어지듯 흔들리고 황량하며
가을의 온갖 소리마저 들리지 않을 정도로 마음은
깊은 상실감과 고독감에 잠겨 고향을 떠나 온 객지에서
가을을 맞아 느끼는 감정으로
'가을이 왔음을 깨달았지만 북풍이 멀리서 불어와 흰 구름을
흩트리고 먼 강물을 건너오는 듯한 쓸쓸한 풍경 속에서
내 마음은 낙엽처럼 시들고 떨어져 버렸기에 정작 가을의 소리는
들리지 않는구나' 라는 마음속의 황량함을 표현한 시이다.
北 风 吹 白 云 (북풍취백운) :
북풍이 흰 구름을 불어오고
万 里 渡 河 汾 (만리도하분) :
만 리를 건너 분수강에 이르네.
心 绪 逢 揺 落 (심서봉요락) :
마음은 시들어 떨어지는 것을 만나니
秋 声 不 可 闻 (추성불가문) :
가을 소리는 들을 수 없네.
北 | 风 (風) | 吹 | 白 | 云 (雲) | 万 (萬) | 里 | 渡 | 河 | 汾 |
북녘 북 | 바람 풍 | 불 취 | 흰 백 | 구름 운 | 일만 만 | 마을 리 | 건널 도 | 물 하 | 클 분 |
心 | 绪 (緒) | 逢 | 摇 (搖) | 落 | 秋 | 声 (聲) | 不 | 可 | 闻 (聞) |
마음 심 | 실마리 서 | 만날 봉 | 흔들 요 | 떨어질 락 | 가을 추 | 소리 성 | 아닐 불 | 옳을 가 | 들을 문 |
728x90
반응형
'한시(汉诗)'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国 北宋时代 《词作家 晏几道》 长相思(중국 북송시대 《사작가 안기도》 장상사) : 긴 시간 동안 그리워하다 (3) | 2025.07.05 |
---|---|
中国 唐朝时代 第十四代 《皇帝 李昂》 宫中题(중국 당나라 시대 제14대 《황제 이앙》 궁중제) : 궁주에서 짓다 《황실에서 시를 짓다》 (20) | 2025.07.04 |
中国 北宋时代 《文人 司马光》 客中初夏(중국 북송시대 《문인 사마광》객중초하) : 타향에서 맞이하는 초여름 (50) | 2025.06.30 |
中国 罗唐时代 《诗人 张维》 偶成(중국 나당시대 《시인 장유》 우성) : 우연히 짓다《즉흥적으로 짓다》 (6) | 2025.06.29 |
中国 唐朝时代 《诗人 高蟾》 上高侍郞(중국 당나라 시대 《시인 고섬》 상고시랑) : 고(高) 시랑(侍郞)에게 시를 올리다. (3)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