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시(汉诗)

中国 唐朝时代 文学家 兼 《诗人 李白》 「李太白」 淸平调(중국 당나라 시대 문학가 겸 《시인 이백》 「이태백」 청평조) : 양귀비의 아름다움을 칭송하는 즉석 첫 번째 시

728x90
반응형

淸平调 (청평조) :

三 首 之 一 首(삼 수 중 첫 번째)

 

양귀비의 아름다움을 칭송하다.

 

 

청평조(淸平调)는 당(唐) 현종(玄宗)이 양귀비와 

함께 달 밝은 밤 모란 꽃을 감상할 때 흥을 돋우기

위해 이백(李白)을 시켜 시를 짓게한 작품으로 당시

이백은 몹시 취해 인사불성이었는데 명을 전달하러 온

신하가 얼굴에 물을 뿌려 정신이 들게 하자

청평조 세 수(三 首)를 즉석에서 지었다고 한다.

 

诗 (詩) 学 (學)
당나라 당 대신할 대 시  시 사람 인 겸할 겸 글월 문 배울 학
调 (調)
집 가 오얏 리 흰 백 과녁 적 맑을 청 평평할 평 고를 조

 

 

양귀비와 저고리와 치마는 구름같이 아름답고

그 얼굴은 모란처럼 화사한데 봄바람이 난간에

스치니 모란에 맺힌 이슬방울이 짙어진다.

만약 서왕모(西王母 :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가

산다는 군옥산(群玉山 : 중국 전설상의 산이름으로

서왕모가 살았다고 하는 산) 꼭대기에서 그녀를 보지

못한다면 선녀가 사는 요대(瑶台 : 매우아름다운

누대로 신선들이 산다는 곳)로

월궁(月宫 : 달의 여신이 산다는 궁)

의 달빛 아래에서 만날 것이다.

 

云 想 衣 裳 花 想 容 (운상의상호상용) :

구름보면 그대의 옷자락 꽃을 보면 

그대의 얼굴 떠오르니

 

春 风 拂 檻 露 华 浓 (춘풍불함로화농) :

봄바람 난간에 스치고 이슬 머금은

꽃잎이 무르익네.

 

若 非 群 玉 山 头 见 (약비군옥산두견) :

만약 군옥산 꼭대기에서 보지 못한다면

 

会 向 瑶 台 月 下 逢 (회향요대월하봉) :

요대의 달빛 아래에서 만나리라.

 

云 (雲)
구름 운 생각할 상 옷 의 치마 상 꽃 화 생각할 상 얼굴 용
风 (風) 华 (華) 浓 (濃)
봄 춘 바람 풍 떨칠 불 난간 함 이슬 로 빛날 화 짙을 농
头 (頭) 见 (見)
같을 약 아닐 비 무리 군 구슬 옥 메 산 머리 두 볼 견
会 (會) 瑶 (瑤) 台 (臺)
모일 회 향할 향 아름다운 옥 요 대 대 달 월 아래 하 맞날 봉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