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지사지 교지회지 명피후차 위지재지 썸네일형 리스트형 시경(诗经) : 黃鸟(황조) (表题(표제)는 小雅(소아 : 秦朝(진나라 시대)궁중에서 불렀던 노래)이고 副表題는(魚藻之什 : 부표제는 어조지십)이다. 꾀골꾀꼴 꾀꼬리 「꾀꼬리가 계속해서 우는 소리」 黃 鸟 (황조) : 꾀꼴꾀꼴 꾀꼬리「꾀꼬리가 계속해서 우는 소리」 魚藻之什(어조지십) : 시경 소아 편에 실린'어조'를 포함한 일련의 10편의 시를 묶어 이르는 말인며 물고기와 물풀을 통해 왕의 행태를풍자한 것으로 어조(魚藻)는 물고기가 물풀 사이에서 노니는 모습을 묘사하며 왕이 도읍(鎬京 :호경)에서 즐겁게 술 마시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시이다. 즉 '어조'시가 물고기가 자유롭게 노니는 모습과 당시의 유왕(幽王)이 정치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즐기기만 하는 것을 풍자하는 의미이기도 하다. 길을 떠난 사신(使臣)이 환송연(歡送宴)을 받고그 각오를 새로이 하는 노래로 미천(微賤)한 사람이 나라의 어지러움을 풍자한 것이라 했으나옛날에는 사신(使臣)의 고초(苦楚)가 심했지만그런 고초(苦楚)를 감수하겠다는..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