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자를 모실 때 저지르기 쉬운 세가지 과실 썸네일형 리스트형 논어(论语) : 孔子曰 侍於君子에 有三愆하니 言未及之而言을 谓之躁요 言及之而不言을 谓之隐이요 未见颜色而言을 谓之瞽니라.(논어 : 공자왈 시어군자에 언미급지이언을 위지조요 언급지이불언을 위지은이요 미견안색이언을 위지고니라) : 군자를 모실 때 저지르기 쉬운 세가지 과실. 孔子曰(공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侍 於 君 子 에 (시어군자)에 :군자를 모실 때 저지르기 쉬운 有 三 愆 하니 (유삼건)하니 :세 가지 과실이 있다. 言 未 及 之 而 言 을( 언미급지이언)을 :묻기도 전에 말하는 것은 谓 之 躁 요 (위지조)요 :조급하고 침착하지 못함이요. 言 及 之 而 不 言 을 (언급지이불언)을웃 사람이 말을 했는데도 대답하지 않는 것은 谓之隐이요(위지은)이요 : 감추는 것이라 말하며 未 见 颜 色 而 言 을 (미견안색이언)을웃 사람의 안색을 살피지 않고 함부로 말하는 것은 谓 之 瞽 니라 (위지건)니라 :소경이라고 하는 것이다. 상대방이 아직 묻지도 하지 않았는데말하는 것은 조급함이요,상대방이 의견을 들어보려 하는데말하지 않음은 감추는 일이다.상대방의 안색을 살피지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