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논어(孔子的 论语)

论语 : 子曰 無欲速하며 無見小利니 欲速則不達하고 見小利則하면 大事不成이니라(논어 : 자왈 무욕속하며 무견소리니 욕속즉부달하고 견소리즉하면 대사불성이니라) : 일을 속히 하려 말고 작은 이익을 돌아보지 말라. 속히 하고자 하면 달성하지 못한다. 작은 이익을 돌아보면 큰 일을 이루지 못한다.

銀雪(은설) 2025. 6. 18. 15:57
728x90
반응형

子 曰 (자왈) :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無 欲 速 (무욕속 ) :

일을 속히 하려 말고

 

無 見 小 利 (무견소리) :

작은 이익을 돌아보지 말라.

 

欲 速 則 不 達 (욕속즉부달) :

  속히 하고자 하면 달성하지 못한다.

 

見 小 利 則 (견소리즉) :

작은 이익을 돌아보면

 

大 事 不 成 (대사불성) :

  큰 일을 이루지 못한다.

 

 

서두르지 말고 작은 이익(利益)을 탐(貪)하지 마라.

서두르면 목적(目的)을 달성(達成)하지 못하고

서두르면 도리어 일을 그르친다.

작은 이익을 탐하면 성과(成果)를 거둘 수 없다.

 

论 (論) 语 (語) 無 (无) 無 (无)
논할 론 말씀 어 아들 자 가로 왈 없을 무 하고자 할 욕 빠를 속 없을 무
見 (见) 則 (则) 達 (达)
볼 견 작을 소 날카로울 리 하고자 할 욕 빠를 속 곧 즉 아닐 부 통달할 달
見 (见) 則 (则)
볼 견 볼 견 날카로울 리 곧 즉 클 대 일 사 아닐 불 이룰 성

 

 

속히 하려고 서두르지 말고 작은 이익을 보지

말아야 하며 속히 서두르고자 하면 달성하지

못하고 작은 이익을 보면 큰 일을 이루지 못한다.

 

제자 자하가 거보(筥父 : 노나라의 작은 고을 이름)라는

고을의 읍장에 임명되었을 때 정치가의 마음가짐에 대해서

물었다. 거기에 대한 공자의 대답이다.  서둘지 않는 것과

눈앞의 작은 이익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것은 정치가 뿐만

아니라 인생의 지침이 되기도 한다. 2천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일상생활에 꼭 들어맞는 교훈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