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汉诗)

唐朝时代 诗人 兼 文人 李白《李太白》的 采莲曲(당대시인 겸 문학가 이백《이태백》의 채련곡) : 연밥을 따는 노래.

銀雪(은설) 2025. 4. 7. 14:18
반응형

采 莲 曲(채련곡) :

연밥을 따는 노래.

 

时 ( 時 ) 代  诗 ( 詩 )
당나라 당 아침 조 때 시 대신할 대 시 시 사람 인 겸할 겸 글월 문 사람 인
莲 ( 蓮 )
오럇 리 흰 백 오럇 리 클 태 흰 백 과녁 적 캘 채 연꽃 련 굽을 곡
약야계(若耶溪) 중국 저장성(浙江省)샤오싱시(紹興市)동남쪽에 있는 아름다운 시내 이름

 

 

중국 남방 지역에서 연밥을 따면서 부르던

민요에서 유래되었으며 맑고 아름다운

약야계(若耶溪)에서 연밥을 따는 아가씨들의

즐거운 모습과 그 모습을 바라보는 젊은이의

설레는 마음을 표현하였고 햇살에 빛나는

아가씨들의 아름다움, 바람에 흩날리는 옷자락의

향기, 그리고 수양버들 사이로 보이는 젊은이들의

모습이 한 폭의 그림처럼 묘사되었다.

 

若 耶 溪 旁 采 莲 女 ( 약야계방채련녀 ) :

약야계 냇가에서 연밥 따는 아가씨

 

笑 隔 荷 花 共 人 语 ( 소격하화공인어 ) :

연꽃 사이로 웃으며 사람들과 아야기 나누네.

 

日 照 新 妆 水 底 明 ( 일조신장수저명 ) :

햇살에 새 단장한 얼굴 물 밑까지 비치고

 

风 飄 香 袂 空 中 举 ( 풍표향몌공중거 ) :

바람에 실려오는 향기로운 소매는

공중으로 날리네.

 

岸 上 谁 家 游 冶 郞 ( 안상수가유야랑 ) :

언덕 위에는 누구 집 젊은이인가.

 

三 三 五 五 映 垂 杨 ( 삼삼오오영수양 ) :

셋, 넷 또는 다섯씩 늘어진

수양버들 사이에 비치네.

 

紫 骝 嘶 入 落 花 去 ( 자류시입낙화거 ) :

자줏빛 얼룩말은 울며 떨어지는

꽃잎 속으로 사라지고

 

见 此 踟 蹰 空 断 肠 ( 견차지주공단장 ) :

이를 보고 머뭇거리다 부질없이

애만 태우네.

 

莲 ( 蓮 )
같을 약 어조사 야 시내 계 두루 방 캘 채 연꽃 련 여자 녀
语 (語 )
웃을 소 막을 격 멜 하 꽃 화 함께 공 사람 인 말씀 어
日  妆 ( 妝 )
날 일 비출 조 새 신 단장할 장 물 수 밑 저 밝을 명
风 ( 風 ) 飘 ( 飄 )
바람 풍 회오리바람 표 향기 향 소매 몌 빌 공 가운데 중 갈 거
谁 ( 誰 )
언덕 안 윗 상 누구 수 집 가 헤엄칠 유 풀무 야 사내 랑
杨 ( 楊 )
석 삼 석 삼 다섯 오 다섯 오 비칠 영 드리울 수 버들 양
骝 (騮 )
자줏빛 자 월따말류 울 시 들 입 떨어질 락 꽃 화 갈 거
见 ( 見 ) 断 ( 斷 ) 肠 ( 腸 )
볼 견 이를 차 머뭇거릴 지 머뭇거릴 주 빌 공 끊을 단 창자 장

 

말리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