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汉诗)
中国 元朝时代 散曲 《作家 貫云石》 红绣鞋(중국 원나라 시대 산곡 《작가 관운석》 홍수혜) : 붉은색 수놓은 신발.
銀雪(은설)
2025. 3. 24. 16:11
728x90
반응형
红绣鞋 (홍수혜) :
붉은색 수놓은 신발.
中 | 国 (國) | 元 | 朝 | 时 (時) | 代 | 散 | 曲 | |
가운데 중 | 나라 국 | 으뜸 원 | 아침 조 | 때 시 | 대신할 대 | 흩을 산 | 굽을 곡 | |
作 | 家 | 貫 | 云 (雲) | 石 | 的 | 红 (紅) | 绣 (綉) | 鞋 |
지을 작 | 집 가 | 꿸 관 | 구름 운 | 돌 석 | 과녁 적 | 붉을 홍 | 수놓을 수 | 신 혜 |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애틋한
감정을 담고 있으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서로에게 빠져드는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하며
이별의 아쉬움을 윤달에 빗대어 사랑하는
사람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어 하는
간절한 마음과 이별의 아쉬움을 노래하고 있다.
挨 着 靠 着 云 窗 同 坐 (애착고착운창동좌) :
구름이 비치는 창문에 기대어 나란히 앉아
偎 着 抱 着 月 枕 双 歌 (외착포착월침쌍가) :
달빛 아래에서 함께 베개를 베고
서로 기대어 사랑의 노래를 속삭이네.
听 着 数 着 愁 着 怕 着 早 四 更 过
(청착수착추작파착조사경과) :
시간이 흐름을 헤아리며 근심하고
두려워하다 보니 어느덧 새벽 네 시가 지났네.
四 更 过 情 未 足 (사경과정미족) :
새벽 네 시가 지나도록 정은 아직 부족하고
情 未 足 夜 如 梭 (정미족야여사) :
정은 부족한데 밤은 베틀의 북(화살)
처럼 빠르게 지나가네.
天 哪 (천나) :
하늘에 간절히 바라건대
更 闰 一 更 儿 妨 甚 么 (경윤일경아방심요) :
한 시간을 더 윤달로 추가하여 제발
시간을 조금만 더 늦춰진들 무슨 상관이랴.
挨 | 着 | 靠 | 着 | 云 (雲) | 窗 (窓) | 同 | 坐 | ||
밀칠 애 | 붙을 착 | 기댈 고 | 붙을 착 | 구름 운 | 창 창 | 한가지 동 | 앉을 좌 | ||
偎 | 着 | 抱 | 着 | 月 | 枕 | 双 (雙) | 歌 | ||
가까이할 외 | 붙을 착 | 안을 포 | 붙을 착 | 달 월 | 베개 침 | 두 쌍 | 노래 가 | ||
听 (聽) | 着 | 数 (數) | 着 | 愁 | 着 | 怕 | 着 | 早 | |
들을 청 | 붙을 착 | 셈 수 | 붙을 착 | 근심 수 | 붙을 착 | 두려워할 파 | 붙을 착 | 일찍 조 | |
四 | 更 | 过 (過) | 四 | 更 | 过 (過) | 情 | 未 | 足 | |
넉 사 | 고칠 경 | 지날 과 | 넉 사 | 고칠 경 | 지날 과 | 뜻 정 | 아닐 미 | 발 족 | |
情 | 未 | 足 | 夜 | 如 | 梭 | 天 | 哪 | ||
뜻 정 | 아닐 미 | 발 족 | 밤 야 | 같을 여 | 북 사 | 하늘 천 | 어찌 나 | ||
更 | 闰 (閏) | 一 | 更 | 儿 (兒) | 妨 | 甚 | 幺 | ||
고칠 경 | 윤달 윤 | 한 일 | 고칠 경 | 아이 아 | 방해할 방 | 심할 심 | 적을 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