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汉诗)
中国 靑朝时代 《文人 郑板桥》 诗调 / 蝴蝶(중국 청나라 시대 《문인 정판교》 시조(시의 가락) / 호접) : 나비
銀雪(은설)
2025. 3. 24. 13:40
728x90
반응형
蝴 蝶 (호접) :
나비
中 | 国 (國) | 靑 | 朝 | 时 (時) | 代 | 文 | 人 |
가운데 중 | 나라 국 | 푸를 청 | 아침 조 | 때 시 | 대신할 대 | 글월 문 | 사람 인 |
郑 (鄭) | 板 | 桥 (橋) | 的 | 诗 (詩) | 调 (調) | 蝴 | 蝶 |
정나라 정 | 널빤지 판 | 다리 교 | 과녁 적 | 시 시 | 고를 조 | 나비 호 | 나비 접 |
나비의 자유로운 움직임과 아름다움을 묘사했으며
나비는 장자의 꿈을 깨뜨릴 정도로 활발하게 날아다고
수많은 꽃을 찾아다니며 꿀을 따고 꽃을 찾는 벌들을
놀라게 하고 꽃 파는 사람을 동쪽으로 데려가는 등
나비의 자유분방함과 아름다움을 통해 자연의
신비로움과 생명력을 찬미하고 나비의 움직임을
통해 인간의 욕망과 집착을 표현했다.
弹 破 庄 周 梦 (탄파장주몽) :
장자의 꿈을 깨뜨리고
两 翅 驾 东 风 (양시가동풍) :
두 날개로 바람을 타고 날아가네.
三 百 座 名 园 (삼백좌명원) :
수백 개의 유명한
정원(名园)을 돌아다니며
一 采 一 个 空 (일채일개공) :
꽃마다 꿀을 찾아 텅 비게 하네.
谁 道 风 流 种 (수도풍류종) :
누가 저것을 바람둥이라 했던가.
唬 杀 寻 芳 的 蜜 蜂 (호살심방적밀봉) :
꽃을 찾는 벌들을 놀라게 하는구나.
轻 轻 飞 动 (경경비동) :
가볍게 날갯짓하며
把 卖 花 人 搞 过 桥 东 (파매화인고과교동) :
꽃 파는 사람을 다리 동쪽으로 데려가네.
弹 (彈) | 破 | 庄 | 周 | 梦 (夢) | 两 (兩) | 翅 | 驾 (駕) | 东 (東) | 风 (風) |
탄알 탄 | 깨뜨릴 파 | 전장 장 | 두루 주 | 꿈 몽 | 두 량 | 날개 시 | 멍에 가 | 동녘 동 | 바람 풍 |
三 | 百 | 座 | 名 | 园 (園) | 一 | 采 | 一 | 个 (個) | 空 |
석 삼 | 일백 백 | 자리 좌 | 이름 명 | 동산 원 | 한 일 | 캘 채 | 한 일 | 낱 개 | 빌 공 |
谁 (誰) | 道 | 风 (風) | 流 | 种 (種) | |||||
누구 수 | 길 도 | 바람 풍 | 흐를 류 | 씨 종 | |||||
唬 | 杀 (殺) | 寻 (尋) | 芳 | 的 | 蜜 | 蜂 | |||
부르짖을호 | 죽일 살 | 찾을 심 | 꽃다울 방 | 과녁 적 | 꿀 밀 | 벌 봉 | |||
轻 (輕) | 轻 (輕) | 飞 (飛) | 动 (動) | ||||||
가벼울 경 | 가벼울 경 | 날 비 | 움직일 동 | ||||||
把 | 卖 (賣) | 花 | 人 | 搞 | 过 (過) | 桥 (橋) | 东 (東) | ||
잡을 파 | 팔 매 | 꽃 화 | 사람 인 | 칠 고 | 지날 과 | 다리 교 | 동녘 동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