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汉诗)
中国 唐朝末期时代 《诗人 崔道融》溪居即事(중국 당나라 말기 시대 《시인 최도융》 계거즉사) : 개울가에 살면서 그때그때 떠오르는 생각들 「계촌의 일상」
銀雪(은설)
2025. 3. 19. 13:22
728x90
반응형
溪居即事 (계거즉사) :
개울가에 살면서 그때그때 떠오르는 생각들.
《계촌의 일상》
中 | 国 (國) | 唐 | 朝 | 末 | 期 | 时 (時) | 代 | 诗 (詩) |
가운데 중 | 나라 국 | 당나라 당 | 아침 조 | 끝 말 | 기약할 기 | 때 시 | 대신할 대 | 시 시 |
人 | 崔 | 道 | 融 | 的 | 溪 | 居 | 即 | 事 |
사람 인 | 높을 최 | 길 도 | 화할 융 | 과녁 적 | 시내 계 | 살 거 | 곧 즉 | 일 사 |
시골 마을의 평화로운 풍경을 묘사한 것으로
봄바람이 불어오는 따뜻한 날씨에 낚시터에는
배들이 한가롭게 떠 있고 아이는 혹시 손님이
올까 봐 서둘러 문을 잠그는 모습에서 시골
마을의 한적하고 평화로운 분위기와 시골
개울가에서 벌어지는 소박한
일상을 표현한 것이다.
篱 外 谁 家 不 系 船 (이외수가불계선) :
울타리 밖 어느 집
배도 매어놓지 않았는데
春 风 吹 入 钓 鱼 湾 (춘풍취입조어만) :
봄바람이 불어와
낚시터로 들어오네.
小 童 疑 是 有 村 客 (소동의시유촌객) :
어린 아이는 혹시
마을 손님이 온 줄 알고
急 向 柴 门 去 却 关 (급향시문거각관) :
급히 사립문으로 달려가
도로 닫아 버리네.
篱 (籬) | 外 | 谁 (誰) | 家 | 不 | 系 | 船 |
울타리 리 | 바깥 외 | 누구 수 | 집 가 | 아닐 불 | 이을 계 | 배 선 |
春 | 风 (風) | 吹 | 入 | 钓 (釣) | 鱼 (魚) | 湾 (灣) |
봄 춘 | 바람 풍 | 불 취 | 들 입 | 낚시 조 | 물고기 어 | 물굽이 만 |
小 | 童 | 疑 | 是 | 有 | 村 | 客 |
작을 소 | 아이 동 | 의심 의 | 이 시 | 있을 유 | 마을 촌 | 손 객 |
急 | 向 | 柴 | 门 (門) | 去 | 却 | 关 (關) |
급할 급 | 향할 향 | 섶 시 | 문 문 | 갈 거 | 물리칠 각 | 관계할 관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