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汉诗)

中国 南宋朝时代 《诗人 黃机》 眼儿媚(중국 남송나라시대 《시인 황기》 안아미) : 눈썹과 눈이 아름다운 여인.

銀雪(은설) 2025. 3. 8. 14:54
728x90
반응형

眼儿媚 (안아미) :

눈썹과 눈이 아름다운 여인

 

 

国 (國) 时 (時) 诗 (詩)
가운데 중 나라 국 남녘 남 송나라 송 아침 조 때 시 대신할 대 시 시
机 (機) 儿 (兒)  
사람 인 누를 황 틀 기 과녁 적 눈 안 아이 아 예쁠 미  

 

 

 

《안아미》는 사(词)라는 중국의 시의 한 종류로

민간에서 유행하던 노래를 가사에 맞추어 지어진

시의 제목이자 곡조의 이름이며 복잡한 세상사를

떠나 자연 속에서 소박하고 평화롭게 살아가는

즐거움과 만족함을 표현하고 있다.

 

莫 嗔 日 日 话 思 归 (막진일일화사귀) :

날마다 집에 돌아가고 싶다고

말하는 것을 나무라지 않으면

 

归 也 却 便 宜 (귀야각편의) :

돌아가는 것이 오히려 편안하네.

 

东 邻 招 茗 (동린초명) :

동쪽 이웃은 차를 권하고

 

西 邻 喚 酒 (서린환주) :

서쪽 이웃은 술을 권하니

 

一 笑 开 眉 (일소개미) :

한 번 웃으니 눈썹이 활짝 펴지네.

 

人 生 万 事 无 缘 足 (인생만사무연족) :

인생만사가 인연 없이 만족될 수 없으니

 

待 足 是 何 时 ? (대족시하시 ?) :

만족하기를 기다리면 어느 때에

만족할 수 있을까?

 

妻 能 纺 绩 (처능방적) :

아내는 길쌈을 하고

 

儿 能 耕 获 (아능경획) :

아들은 밭을 갈아 수확하니

 

未 必 寒 饥 (미필한기) :

반드시 춥고 배고픈 것은 아니네.

 

话 (話) 归 (歸)    
없을 막 성 낼 진 날 일 날 일 말씀 화 생각 사 돌아올 귀    
归 (歸) 便 东 (東) 邻 (隣)
돌아올 귀 어조사 야 물리칠 각 편할 편 마땅 의 동녘 동 이웃 린 부를 초 차 싹 명
西 邻 (隣) 开 (開)  
서녘 서 이웃 린 부를 환 술 주 한 일 웃을 소 열 개 눈썹 미  
万 (萬) 无 (無) 缘 (緣)    
사람 인 날 생 일만 만 일 사 없을 무 인연 연 발 족    
时 (時) 纺 (紡) 绩 (績)
기다릴 대 발 족 바를 시 어찌 하 때 시 아내 처 능할 능 실 뽑을 방 길쌈할 적
儿 (兒) 饥 (飢)  
아이 아 능할 능 밭 갈 경 얻을 획 아닐 미 반드시 필 찰 한 주릴 기  
방적(纺绩) 실을 내어 옷감을 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