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汉诗)
中国 南宋时代 《词作家 朱敦儒》 相见欢(중국 남송시대 《사작가 주돈유》 상견환) : 서로 만나 기뻐하다.
銀雪(은설)
2025. 3. 3. 16:21
728x90
반응형
相见欢 (상견환) :
서로 만나 기뻐하다.
中 | 国 (國) | 南 | 宋 | 时 (時) | 代 | 词 (詞) | 作 |
가운데 중 | 나라 국 | 남녘 남 | 송나라 송 | 때 시 | 대신할 대 | 말씀 사 | 지을 작 |
家 | 朱 | 敦 | 儒 | 的 | 相 | 见 (見) | 欢 (歡) |
집 가 | 붉을 주 | 도타울 돈 | 선비 유 | 과녁 적 | 서로 상 | 볼 견 | 기쁠 환 |
북송(北宋)이 멸망하고 남송(南宋)이
건립되는 혼란스러운 시대를 맞이하며
주돈유가 금릉(金陵 : 지금의 南京)의
서쪽 누각에 올라 가을 풍경을 바라보며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과 은둔 생활의
쓸쓸함을 담은 작품이디.
金 陵 城 上 西 楼 (금릉성상서루) :
금릉성 서쪽 누각에 올라
倚 淸 秋 (의청추) :
맑은 가을을 풍경에 기대었네.
万 里 夕 阳 垂 地 (만리석양수지) :
만 리 밖으로 석양이 드리우고
大 江 流 (대강류 ) :
큰 강물은 유유히 흐르네.
中 原 乱 ( 중원란) :
중원은 혼란스럽고
簪 缨 散 (잠영산) :
벼슬아치들은 흩어졌으니
几 时 收 ? (기시수) :
어느 때나 다시 수습될까?
试 倩 悲 风 吹 泪 (시천비풍취루) :
슬픈 바람에 눈물을 실어
过 扬 州 (과양주) :
양주(扬州)로 보낸다.
金 | 陵 | 城 | 上 | 西 | 楼 (樓) | 倚 | 淸 | 秋 |
쇠 금 | 언덕 릉 | 재 성 | 윗 상 | 서녘 서 | 다락 루 | 의지할 의 | 맑을 청 | 가을 추 |
万 (萬) | 里 | 夕 | 阳 (陽) | 垂 | 地 | 大 | 江 | 流 |
일만 만 | 마을 리 | 저녁 석 | 볕 양 | 드리울 수 | 땅 지 | 큰 대 | 강 강 | 흐를 류 |
中 | 原 | 乱 (亂) | 簪 | 缨 (纓) | 散 | 幾 (几) | 时 (時) | 收 |
가운데 중 | 근원 원 | 어지러울 난 | 비녀 잠 | 갓끈 영 | 흩을 산 | 조짐 기 | 때 시 | 거둘 수 |
试 (試) | 倩 | 悲 | 风 (風) | 吹 | 泪 (淚) | 过 (過) | 扬 (揚) | 州 |
시험할 시 | 예쁠 천 | 슬플 비 | 바람 풍 | 불 취 | 눈물 루 | 지날 과 | 날릴 양 | 고을 주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