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汉诗)
中国 北宋时代 《诗人 贺鋳》 捣练子(중국 북송시대 《시인 하주》 도련자) : 비단을 다듬질하는 여인.
銀雪(은설)
2025. 2. 11. 16:50
728x90
반응형
捣练子 (도련자) :
비단을 다듬질하는 여인.
中 | 国 (國) | 北 | 宋 | 诗 (詩) | 人 |
가운데 중 | 나라 국 | 북녘 북 | 송나라 송 | 시 시 | 사람 인 |
贺 (賀) | 铸 (鑄) | 的 | 捣 (搗) | 练 (練) | 子 |
하례 하 | 불릴 주 | 과녁 적 | 두드릴 도 | 누릴 련 | 아들 자 |
전쟁터에 나간 남편은 옥문관 서쪽에 있고
옥문관까지는 만 리나 되는 먼 거리인데
남편에게 옷을 보내기위해 다듬질하여
만든 그 옷에 눈물로 글씨를 써서 보내려는
여인의 슬픔과 남편을 향한 그리움을 담고 있다.
砧 面 莹 杵 声 齐 (침면영저성제) :
다듬잇돌은 빛나고 방망이 소리 가지런하고
捣 就 征 衣 泪 墨 题 (도취정의루묵제) :
정성껏 다듬이질하여 만든 옷에
눈물로 글씨를 써서
寄 到 玉 关 应 万 里 (기도옥관응만리) :
보내려는 이 옷은 옥문관까지는 만 리나 되는데
戍 人 犹 在 玉 关 西 (수인유재옥관서) :
낭군은 아직도 옥문관 서쪽에 있겠구나.
砧 | 面 | 莹 (瑩) | 杵 | 声 (聲) | 齐 (齊) | |
다듬잇돌 침 | 낮 면 | 맑을 영 | 공이 저 | 소리 서 | 가지런할 제 | |
捣 (搗) | 就 | 征 | 衣 | 泪 (淚) | 墨 | 题 (題) |
두드릴 도 | 나아갈 취 | 칠 정 | 옷 의 | 눈물 루 | 먹 묵 | 제목 제 |
寄 | 到 | 玉 | 关 (關) | 应 (應) | 万 (萬) | 里 |
부칠 기 | 이를 도 | 구슬 옥 | 관계할 관 | 응할 응 | 일만 만 | 마을 리 |
戍 | 人 | 犹 (猶) | 在 | 玉 | 关 (關) | 西 |
수자리 수 | 사람 인 | 오히려 유 | 있을 재 | 구슬 옥 | 관계할 관 | 서녘 서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