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汉诗)
中国 元成宗 大德时代 《翰林学士 王元鼎》 醉太平(중국 원나라 대덕 시대 《한림학사 왕원정》 취태평) : 술이 취해도 아무 근심 걱정이 없구나.
銀雪(은설)
2025. 1. 10. 16:53
728x90
반응형
醉太平 (취태평) :
술이 취해도 아무 근심 걱정이 없구나.
中 | 国 (國) | 元 | 成 | 宗 | 大 | 德 | 时 (時) | 代 | 翰 |
가운데 중 | 나라 국 | 으뜸 원 | 이룰 성 | 마루 종 | 클 대 | 덕 덕 | 때 시 | 대신할 대 | 깃 한 |
林 | 学 (學) | 士 | 王 | 元 | 鼎 | 的 | 醉 | 太 | 平 |
수풀 림 | 배울 학 | 선비 사 | 임금 왕 | 으뜸 원 | 솥 정 | 과녁 적 | 취할 취 | 클 태 | 평평할 평 |
한림학사(翰林学士) | 학사원(学士院) 또는 학림원(学林院)의 관리(官理) | ||||||||
원성종(元成宗) 대덕 시대(大德時代) |
원나라 성종(成宗) 테무르 올제이투 칸의 두 번째 연호인 '대덕'이 사용된 시기 |
따뜻함이 차갑게 식어가는 이른 봄철
서풍을 맞으며 여인이 멀리 장안을 바라보며
떠난 애인의 모습을 보려 몇 번이고
누각에 올라가서 애인의 모습이 보이길
바랬지만 볼 수 없어 안타까워 눈물을 흘리며
외로워하는 마음을 표현했다.
花 飞 时 雨 残 (화비시우단) :
비 그치고 꽃잎이 날리는데
帘 卷 处 春 寒 (렴권처춘한) :
주렴을 걷었더니 봄날은 차갑고
夕 阳 楼 上 望 长 安 (석양루상망장안) :
해질녁 위층에 올라 장안을 바라보며
洒 西 风 泪 眼 (쇄서풍루안) :
서풍에 눈물을 흘리네.
几 时 睚 彻 凄 惶 限 (기시애철처황한) :
슬픔과 원망 또 두려움에 고심한
시간은 얼마이고
几 时 盼 得 南 来 雁 (기시반득남래안) :
북으로 가는 기러기를 보며 즐거워한
시간은 얼마던가?
几 番 和 月 凭 阑 干 (기번화월빙난간) :
홀로 난간에 기대어 달만 바라보기는
몇 날 몇 일
多 情 人 未 还 (다정인미환) :
사랑하는 님은 언제쯤 오시려는지.
花 | 飞 (飛) | 时 (時) | 雨 | 残 (殘) | ||
꽃 화 | 날 비 | 때 시 | 비 우 | 잔인할 잔 | ||
帘 (簾) | 卷 | 处 (處) | 春 | 寒 | ||
발 렴 | 책 권 | 곳 처 | 봄 춘 | 찰 한 | ||
夕 | 阳 (陽) | 楼 (樓) | 上 | 望 | 长 (長) | 安 |
저녁 석 | 볕 양 | 다락 루 | 윗 상 | 바랄 망 | 길 장 | 편안 안 |
洒 | 西 | 风 (風) | 泪 (淚) | 眼 | ||
뿌릴 쇄 | 서녘 서 | 바람 풍 | 눈물 루 | 눈 안 | ||
几 (幾) | 时 (時) | 睚 | 彻 (徹) | 淒 | 惶 | 恨 |
조짐 기 | 때 시 | 눈초리 애 | 통할 철 | 쓸쓸할 철 | 두려울 황 | 한할 한 |
几 (幾) | 时 (時) | 盼 | 得 | 南 | 来 (來) | 雁 |
조짐 기 | 때 시 | 눈 예쁠 반 | 얻을 득 | 남녘 남 | 올 래 | 기러기 안 |
几 (幾) | 番 | 和 | 月 | 凭 (憑) | 阑 (闌) | 干 |
조짐 기 | 차례 번 | 호할 화 | 달 월 | 기댈 빙 | 가로막을 란 | 방패 간 |
多 | 情 | 人 | 未 | 还 (還) | ||
많을 다 | 뜻 정 | 사람 인 | 아닐 미 | 돌아올 환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