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汉诗)

朝鲜 宣祖时代 文臣 兼 《诗人 刘希庆》 赠桂娘和 妓生 兼 《诗人 李梅窓》 梨花雨(조선 선조시대 문신 겸 《시인 유희경》 증계랑과 기생 겸 《시인 이매창》 이화우) : 유희경이 계랑에게 보내다와 이매창의 배꽃 비

銀雪(은설) 2024. 12. 21. 14:15
728x90
반응형

 赠桂娘 (증계랑) :

 《선비와 기생의 사랑이야기》

계랑에게 보내다.

 

鲜 (鮮) 时 (時)
아침 조 고울 선 베풀 선 조상 조 때 시 대신할 대 글월 문 신하 신 겸할 겸
诗 (詩) 刘 (劉) 庆 (慶) 赠 (贈)
시 시 사람 인 죽일 류 바랄 희 경사 경 과녁 적 줄 증 계수나무계 여자 랑
诗 (詩)
화할 화 기생 기 날 생 겸할 겸 시 시 사람 인 오얏 리 매화 매 창 창
       
갈 지 배나무 리 꽃 화 비 우 북방 계        

 

 

유희경(刘希庆)은 조선 선조 시대 문신

겸 시인으로 기생 겸 시인인

이매장(李梅窓  : 호는 계랑 娘,桂娘)과

깊은 사랑에 빠지면서

 증계랑(赠桂娘)이란 시를 써서 마음을 전한다.

 

曽 闻 南 国 癸 娘 名 (증문남국계랑명) :

일찍이 남국의 계랑이라는 이름을 들었는데

 

诗 韻 歌 词 动 洛 城 (시운가사동낙성) :

싯구와 노래솜씨가 서울에 까지 진동했지

 

今 日 相 看 真 面 目 (금일상간진면목) :

오늘 만나 진면목을 대하고 보니

 

却 疑 神 女 下 三 淸 (각의신녀하삼청) :

무산(巫山) 선녀가 삼청(三淸)에 내려온 듯하여라.

 

曽 (曾) 闻 (聞) 国 (國)
일찍 증 들을 문 남녘 남 나라 국 북방 계 여자 랑 이름 명
诗 (詩) 词 (詞) 动 (動)
시 시 운 운 노래 가 말씀 사 움직일 동 물이름 락 재 성
真 (眞)
이제 금 날 일 서로 상 볼 간 참 진 낯 면 눈 목
물리칠 각 의심할 의 귀신 신 여자 녀 아래 하 석 삼 맑을 청
무산(巫山) 신선이 산다는 산
무당 무 메 산 석 삼 맑을 청 삼청(三淸) 신선이 산다는 세개의 궁(宫)

 

梨花雨 (이화우) :

 

비처럼 떨어지는 배꽃 비

 

이매장(李梅窓  : 호는 계랑 娘,桂娘)은

기생 겸 시인으로 조선 선조 시대 문신

겸 시인인 유희경(刘希庆)

깊은 사랑과 운우지정(云雨之情)을 나누면서

이별 그리고 그리움에 

 이화우(梨花雨 : 배꽃이 흩날릴 때)란

시를 써서 마음을 전한다.

 

이화우 흣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임

추풍낙엽에 저도 나를 생각하는가

천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노라.

 

窓 外 梨 花 似 雨 飞 (창외이화사우비) :

창 밖에 이화우(梨花雨) 흩뿌릴 적에

 

别 君 执 袖 泪 霑 衣 (별군집소누점의) :

부여 잡고 님 보내니 눈물이 옷을 적시네.

 

秋 风 或 有 他 思 我 (추풍혹유타사아) :

가을 바람 불면 님도 나를 생각할까

 

千 里 梦 单 何 不 归 (천리몽단하불귀) :

천리에 외로운 꿈은 어찌 돌아올 줄 모르나.

 

飞 (飛)
창 창 바같 외 배나무 리 꽃 화 같을 사 비 우 날 비
执 (執) 泪 (淚)
나눌 별 임금 군 잡을 집 소매 수 눈물 루 젖을 점 옷 의
风 (風)
가을 추 바람 풍 혹시 혹 있을 유 다를 타 생각 사 나 아
梦 (夢) 单 (單) 归 (歸)
일천 천 마을 리 꿈 몽 홑 단 어찌 하 아닐 불 돌아올 귀
怀 (懷) 阳 (陽) 台 (臺)
뜻 정 사귈 교 초나라 초 품을 회 임금 왕 볕 양 대 대
운우지정(雲雨之情) 구름 또는 비와 나누는 정(情)이라는 뜻으로 남녀(男女)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楚)나라의 회왕(怀王)이 꿈속에서 선녀와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선녀가
떠나면서
자기(自己)는 아침에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阳台 :
해가
잘 비추는 곳을말하며 남녀의 정교(情交)를 의미한다)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故事)
에서 유래(由来)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