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子曰 (자왈) :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君 子 篤 於 親이면(군자독어친)이면 :
군자가 친척들에게 후덕하게 대하면
則 民 興 於 仁하고 (즉민흥어인)하고 :
백성들 사이에는 인덕의 기풍이 일어나고
故 舊 不 遺면 (고구불유)면 :
옛 친구를 버리지 않으면
則 民 不 偸니라 (즉민불투)니라 :
백성들의 덕풍도 두터워진다.
论 (論) | 语 (語) | 君 | 子 | 篤 (笃) | 於 | 親 (亲) | 則 (则) | 民 | 興 (兴) |
논할 론 | 말씀 어 | 임금 군 | 아들 자 | 도타울 독 | 어조사 어 | 친할 친 | 곧 즉 | 백성 민 | 일 흥 |
於 | 仁 | 故 | 舊 (旧) | 不 | 遺 (遗) | 則 (则) | 民 | 不 | 偸 (偷) |
어조사 어 | 어질 인 | 연고 고 | 옛 구 | 아닐 불 | 남길 유 | 곧 즉 | 백성 민 | 아닐 불 | 훔칠 투 |
군자가 어버이에게 독실(篤實)히 하면
백성들이 인을 일으키고 옛 친구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이 야박해지지 않는다.
친족에게 사랑을 베풀며 옛날에 알고 지내던
친구들을 잊지 않고 후대하면 백성들도 자연히
이를 본받아 인자한 마음을 일으켜 가족을
돌보고 이웃끼리도 화목하게 지낸다는 말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