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시(汉诗)

中国 南宋时代 《诗人 高观国》 更漏子(중국 남송시대 《시인 고관국》 경루자) : 시간을 재는 물시계

728x90
반응형

更漏子 (경루자) :

시간을 재는 물시계

 

国 (國) 时 (時) 诗 (詩)
가운데 중 나라 국 남녘 남 송나라 송 때 시 대신할 대 시 시 사람 인
观 (觀) 国 (國)  
높을 고 볼 관 나라 국 과녁 적 고칠 경 샐 루 아들 자  

 

 

봄밤의 정경과 여인의 애상적인 심정을

묘사하고 있으며 옥피리의 쓸쓸한 가락과

난간에 기대어시름에 잠기어 구름과 달,

매화 그림자등을 바라보며 고독하고

그리움에 잠긴 여인의 마음을 나타내고 있다.

 

玉 箫 闲 (옥소한) :

옥피리 소리 한가롭고

 

淸 韵 咽 (청운인) :

맑은 곡조 흐느끼네.

 

人 倚 画 阑 愁 绝 (인의화란수절) :

난간에 기대선 사름은 사름에 잠기고

 

云 恼 月 (운뇌월) :

구름은 달을 괴롭히고

 

月 羞 云 (월수운) :

달은 구름을 수줍어하네.

 

半 溪 梅 影 昏 (반계매영혼) :

반쯤 흐르는 시냇가 매화

그림자 희미해지니

 

恨 春 风 (한춘풍) :

봄바람마저 원망스럽네.

 

萧 散 后 (소산후) :

쓸쓸히 흩어진 후

 

夜 夜 数 残 更 漏 (야야수잔경루) :

밤마다 남은 시간을 세네.

 

情 悄 悄 (정초초) :

마음은 쓸쓸하고

 

思 依 依 (사의의) :

그리움은 간절한데

 

天 寒 一 雁 飞 (천한일안비) :

날씨가 차가운데 기러기 한 마리 날아가네.

 

箫 (簫) 闲 (閑) 韵 (韻)
구슬  옥 퉁소 소 한가할 한 맑을 청 운 운 목구멍 인
画 (畵) 阑 (闌) 绝 (絶)
사람 인 의지할 의 그림 화 가로막을 란 근심 수 끊을 절
云 (雲) 恼 (惱) 云 (雲)
구름 운 번뇌할 뇌 달 월 달 월 부끄러울 수 구름 운
 
반 반 시내 계 매화 매 그림자 영 어두울 혼  
风 (風) 萧 (蕭) 后 (後)
한할 한 봄 춘 바람 풍 맑은대쑥 소 흩을 산 뒤 후
数 (數) 残 (殘)
밤 야 밤 야 셈 수 잔인할 잔 고칠 경 샐 루
뜻 정 근심할 초 근심할 초 생각할 사 의지할 의 의지할 의
飞 (飛)  
하늘 천 찰 한 한 일 기러기 안 날 비  
경루(更漏) 밤의 시간을 나타내는 물 시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