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鵲 巢 (작 소) :
까치 집
높은 집안의 처녀가 시집가는 것을
축복(祝福)한 노래로 까치집은 남자가
쌓아 놓은 공적, 비둘기는 다 이루어 놓은
남의 집안에 시집가는 처녀를 견준 것이다.
수레 백 채로 마중하고 배웅한다 하니
고귀한 신분을 소재로 표현한 듯하다.
鵲 | 巢 | 表 | 题 (題) | 召 | 南 | 周 | 王 | 朝 |
까치 작 | 새집 소 | 겉 표 | 제목 제 | 부를 소 | 남녘 남 | 두루 주 | 임금 왕 | 아침 조 |
長 | 江 | 民 | 間 | 歌 | 謠 | 風 | 詩 | |
길 장 | 강 강 | 백성 민 | 사이 간 | 노래 가 | 노래 요 | 바람 풍 | 시 시 |
維 鵲 有 巢 (유작유소) :
까치가 집을 지으면
維 鳩 居 之 (유구거지) :
비둘기가 가서 사네.
之 子 于 歸 (지자우귀) :
아가씨 시집갈 땐
百 兩 御 之 (백량아지) :
수레 백 채 배웅하네.
維 鵲 有 巢 (유작유소) :
까치가 집을 지으면
維 鳩 方 之 (유구방지) :
비둘기 함께 사네.
之 子 于 歸 (지자우귀) :
아가씨 시집갈 땐
百 兩 將 之 (백량장지) :
수레 백 채 배웅하네.
維 鵲 有 巢 (유작유소) :
까치가 집을 지으면
維 鳩 盈 之 (유구영지) :
비둘기 가득 차네.
之 子 于 歸 (지자우귀) :
아가씨 시집갈 땐
百 兩 成 之 (백량성지) :
수레 백 채 배웅하네.
維 (维) | 鵲 (鹊) | 有 | 巢 (巣) | 維 (维) | 鳩 (鸠) | 居 | 之 |
벼리 유 | 까치 작 | 있을 유 | 새집 소 | 벼리 유 | 비둘기 구 | 살 거 | 갈 지 |
之 | 子 | 于 | 歸 (归) | 百 | 兩 (两) | 御 | 之 |
갈 지 | 아들 자 | 어조사 우 | 돌아올 귀 | 일백 백 | 두 량 | 맞을 아 | 갈 지 |
維 (维) | 鵲 (鹊) | 有 | 巢 (巣) | 維 (维) | 鳩 (鸠) | 方 | 之 |
벼리 유 | 까치 작 | 있을 유 | 새집 소 | 벼리 유 | 비둘기 구 | 모 방 | 갈 지 |
之 | 子 | 于 | 歸 (归) | 百 | 兩 (两) | 將 (将) | 之 |
갈 지 | 아들 자 | 어조사 우 | 돌아올 귀 | 일백 백 | 두 량 | 장수 장 | 갈 지 |
維 (维) | 鵲 (鹊) | 有 | 巢 (巣) | 維 (维) | 鳩 (鸠) | 盈 | 之 |
벼리 유 | 까치 작 | 있을 유 | 새집 소 | 벼리 유 | 비둘기 구 | 찰 영 | 갈 지 |
之 | 子 | 于 | 歸 (归) | 百 | 兩 (两) | 成 | 之 |
갈 지 | 아들 자 | 어조사 우 | 돌아올 귀 | 일백 백 | 두 량 | 이룰 성 | 갈 지 |
728x90
반응형